오늘 공부내용 main 브랜치 :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가 상용되는 기준인 "가장 안정된 소스"가 들어가는 곳. 안정된 소스와 개발자들이 개발하고 있는 소스는 다르다! 개발자들이 개발하고 있는 소스들 중에서! 가장 안정된 소스가 dev 브랜치이다. 따라서 feature 브랜치가 개발자들이 가장 최근에 개발하고 있는 브랜치가 된다. 보통 dev 브랜치가 배포 기준이 되고, 배포가 끝나서 안정화가 인정된다면(테스트완료) main브랜치로 머지하는 것이다. 기능이 완성되었을때 feature 브랜치를 dev 브랜치로 머지한다. feature 브랜치를 만들때 기준이 되는 브랜치는 dev브랜치를 따서 만든다. 브랜치의 삭제는 용량문제 등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은, 기록을 남기기위해 웬만하면 머지 후에도 featur..
오늘 공부내용 오류) EC2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구축 및 배포에 성공했으나, EC2로의 서버배포 자동화 결과가 확인이 안되었음. 원인 파악) 확실한 원인은 잘 모르겠으나, jar 파일이 EC2 인스턴스에서 실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임 해결) 파이프라인을 통해 배포가 제대로 완료 되었다면, EC2안에는 배포를 위한 파일들이 제대로 복사되어있어야 한다. 따라서 appspec.yml 파일의 destination 을 확인하면 어느 경로로 복사가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오늘 공부내용 [강사님 한마디] - 프록시 서버 : 서버 접근시 대리 서버 - 로드밸런서 : Scale-Out이라는 서버의 갯수를 늘려 하나의 서버에 줄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요청을 여러 서버에 나눠 처리할 수 있도록 교통정리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술,프로그램을 로드 밸런서라고 한다. 로드밸런싱을 이용하려면 적어도 서버가 2개 이상이여야 한다. 두개의 서버를 열려면 터미널이 2개 이상 있어야 한다.(실습시 주의) 클라이언트는 NGINX로 프록시 서버(80번 포트)를 통해 스프링부트(80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된다. - 오토 스케일링 : 무중단 서버(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는 오토 스케일링이 없으면 운영이 어렵다. - 롤링 업데이트(Rolling Up..
오늘 공부내용 [강사님 모닝세션] EC2(및 도커)의 가상화 환경의 장점 : 유연하고 탄력성 있는 서비스이며,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의 단점해결 가능, 구성이 쉽고 사용이 간편, 다양한 운영체제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된다. RDS :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가상화 기술을 통해 가져와서 사용하는 기술이라고 보면된다. RDS를 사용하기 싫다면 서버에다가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서 사용하면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가 큰 용량을 차지하게 되면 서버의 자원을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공유하게 되어 용량이 더 필요하게 될 수도 있고 비용이 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 만약 서버가 여러대라면... 디비 내부의 정보가 각 서버마다 디비에 다르게 저장되고 사용하기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생긴다. (..
오늘 공부내용 [강사님 한마디] 주말에 시간을 내어 공부를 한다면, 도커는 간단히 하되, 쿠버네티스도 일단 대충 넘어가도 상관없다. 실무에서 큰 규모의 회사에서는 신입 개발자가 도커나 쿠버네티스를 쓸 줄 안다는 것에 큰 메리트는 없으며, 구현한 기능을 왜, 어떻게 구현했고 잘 이해하고있는지, 어떤것을 더 어떻게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지,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또한 팀원들의 마인드셋을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스프링 시큐리티나, 이전 섹션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다. [세션] - 이미지는 레이어로 구성되어있다. 모두 새로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 레이어는 가져오고, 새로운 레이어만 추가된다. docker inspect openjdk:11 //이미지 레이어 확인 테스트 명령어 잘한것 - 페..

오늘 공부내용 [선배적 참견시점] - 일단 키보드를 뿌신다(?) - 알고리즘문제 : 일단 생각난 방법으로 다 풀어본다. - 남에게 설명하는 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 모의 기술면접 이용하기 - 한번에 모든것을 이해하려 하지 말자, 학습한 내용을 기록하고, 조금씩 복습해가며 늘려나가는 것! - 개발관련 이벤트를 만들자.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자 예)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 완벽한 준비가 되지않았어도 지원하라 - CS공부를 잊지말자 - 끝난 프로젝트라도 계속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 개발자는 생각보다 말도 많이하고 소통을 많이 하는 사람이다. 또 협업과 문제해결을 하는 과정에서의 소통능력이 주니어 개발자에게는 가장 중요하다. 기술적이나 지식적인 부분은 어떻게든 가르칠 수 있기 때문이다.즉, 러닝..

오늘 공부내용 - Spring Security 기본 : DI 나 AOP 등 이전 section2~3에서의 학습내용을 잘 알아야 이해하기 편할거라고 한다. 꼭 자주 복습해주라고... 모든 회사에서 백엔드가 보안까지 다 맡는것은 아니지만, 알기는 해야하고, 만약 비즈니스 로직보다 보안쪽이 더 잘 맞는거같다 싶으면 원하는 분야를 집중하서 공부하여 그 분야로 취직을 하는게 낫다고 한다. [Section4 -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 기본 잘한것 부족한것 느낀점 내일 할 일/궁금한것

기록 구직자의 루틴(기업/직무와 관련된 트렌드를 정리하는 루틴) - 가장 가고싶은 목표 기업 5개 생각하고, 그 기업에 대해 꾸준히 공부하기 - 브런치, 서핏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계속 정리하기 - 관련 뉴스를 정리하여, 트렌드 파악하기 - 해당 직무 지식을 쌓기 위한 관련 서적 꼭 읽기 - 흘려보내지 않고 기록하기! 기업 분석 방법 - 성장세, 규모 - 최근 4년의 매출액+영업이익 - DART사이트를 참고하기 - 회사의 주주 - 대주주 - 회사의 경영자 - 경영진, CLV - 동료 - 급여와 근속연수 - 일주일/이주일 단위로 루틴을 관리한다. - 매주 일요일마다 일주일치 계획을 미리 작성한다. - 이주일 단위로 미리 세워둔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회고한다. - 회고는 어떤걸 잘했고..

오늘 공부내용 - API 문서화는 매우 중요하며, 수기가 아닌 자동화 작성을 할 줄 알아야 한다. - 개발자 입장에서는 swagger 보다 Spring Rest Docs가 낫다 잘한것 부족한것 느낀점 내일 할 일/궁금한것

오늘 공부내용 [Section3 - Spring MVC] API 문서화 - api를 작성하기 위해 컨드롤러 테스트가 필수 - Mockito도 중요 : 계층별로 끊어주는데에 필요하며 불필요한 로직을 타지 않아도 된다. 테스트 범위를 좁혀서 테스트 대상에 집중하는 연습을 하자. - 어디서부터 어떻게 테스트 할것인가를 생각하자 : given ~ when(테스트하고자하는 대상)~ then -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습관을 기르자! 싫어하지 말자! ⭐️ -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파일 공유) API문서화가 왜 필요한가? Swagger(애노테이션의 주석 위주로 만드는것?) vs Spring Rest Docs (스프링 기준으로 문서화해주는것?) Spring Rest 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