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내용
[강사님 모닝세션]
EC2(및 도커)의 가상화 환경의 장점 : 유연하고 탄력성 있는 서비스이며,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의 단점해결 가능, 구성이 쉽고 사용이 간편, 다양한 운영체제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된다.
RDS :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가상화 기술을 통해 가져와서 사용하는 기술이라고 보면된다. RDS를 사용하기 싫다면 서버에다가 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서 사용하면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가 큰 용량을 차지하게 되면 서버의 자원을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공유하게 되어 용량이 더 필요하게 될 수도 있고 비용이 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 만약 서버가 여러대라면... 디비 내부의 정보가 각 서버마다 디비에 다르게 저장되고 사용하기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생긴다. (예, 1번서버로 로그인을 했었는데 다음에 서버2에서 로그인을 하려고하면 다른 디비이므로 디비에 정보가 없게된다)
S3 : 인터넷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잘한것
- 아직까지 큰 어려움은 없이 AWS실습을 하고있다.
- 다른분들 블로그보고 많이 놀랐다. 저렇게 매일같이 꾸준히 열심히 산사람도 있구나 반성이 많이 되는 시간...ㅠ 강제 동기부여!
부족한것
- 3티어 아키텍쳐와 사용하는 AWS 서비스에 대한 부분을 잘 모르겠다. 언제 어느부분이(클라,서버,데베) 어떤 AWS서비스(EC2, S3 등) 를 통하는건지?
-> 3티어는 각각의 역할을 분리해서 3개의 물리, 논리 계층으로 구분지어서 설계, 개발 하겠다 입니다요.
우리가 예전에 했던 것 중에 하나 다르지만 비슷한건 MVC인데요. 모델, 뷰, 컨트롤러 나눠서 각 역할이 다른것이죵
그것처럼 3티어 => 브라우저 화면에 보여지는 프레젠테이션, 요청을 받고 가공하고 보내주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계층
- EC2 인스턴스(AWS에서 빌리는 한대의 컴퓨터)에 실습코드를 clone시, SSH등록 과정이 헷갈린다. SSH 등록을 내 개인 깃헙에다 하는건가? 아니면 AWS사이트에서 등록하는건가? -> 실습코드를 포크하고, SSH를 내 개인깃헙에 등록했더니 일단 되기는 했다...
내일 할 일/궁금한것
- AWS의 CDN? 인터넷으로 접속하는건데 물리적인 리전 거리와 속도가 상관이 있는가?? -> 그렇다. 데이터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 심지어 날씨 또한 영향이 있다. 랜선(해저 케이블?을 말하는건가)은 속도 제한이 있다? 각각의 데이터센터(리전)를 두고 데이터를 주고받고있다.
- 퍼블릭 IPv4 주소와 퍼블릭 IPv4 DNS 주소에 :8080 이런식으로 포트를 지정해 주지 않으면 접속이 안되던데 실제 서비스를 런칭할때는 어떤 식으로 설정을 하는가? -> 그렇다. 리다이렉팅 된다.
'🖤 BE 45기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0728] (0) | 2023.07.28 |
---|---|
[TIL 20230726~20230727] (0) | 2023.07.27 |
[TIL 20230721] (0) | 2023.07.24 |
[TIL 20230713]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