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공부내용 Algorithm with Math . 코딩테스트에 많이 쓰이는 - GCD/LCM(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 순열(permutation)과 조합(Combination) - 멱집합(Power set) 느낀점 개인공부에 시간이 많이 들어 수업정리가 아닌 TIL은 오랜만에 작성한다. 그동안 재귀와 자료구조(스택,큐, 트리, 그래프, BFS, DFS 등) 를 학습하게 되었는데, 이론과 문제풀이의 갭이 너무 크게 느껴서 어려움이 크다. 강사님의 한마디... 지금 공부가 고통스럽지 않으면 성장하고있는것이 아니다

프록시 (Proxy) 요약 : 지연로딩을 위해 사용되는 대리 객체 프록시를 사용하면 연관된 객체를 처음부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용하는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할 수 있다. 프록시는 실제 객체에 대한 대리자나 대리 객체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가 실제 객체에 직접 접근하는 것 대신에 프록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록시 클래스는 실제 클래스를 상속 받아 만들어지므로 실제 클래스와 겉모양이 같다.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에 대한 참조(target)을 보관한다. 프록시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한다. 프록시객체의 특징 처음 사용할 때 한 번만 초기화된다. 프록시객체를 초기화한다고 프록시객체가 실제 엔티티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

상속 관계 매핑 객체의 상속 관계를 데이터베이스에 어떻게 매핑하는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객체지향언어에서 다루는 상속의 개념이 없다. 조인 전략 엔티티 각각을 모두 테이블로 만들고 자식 테이블이 부모 테이블의 기본 키를 받아서 기본 키 + 외래 키로 사용하는 전략. JPA 표준 명세는 구분 컬럼을 사용하도록 하지만 하이버네이트를 포함한 몇몇 구현체는 구분컬럼(@DiscriminatorColumn) 없이도 동작함. 장점 - 테이블의 정규화 - 외래 키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을 활용할 수 있다 -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가능 단점 - 조회할 때 조인이 많이 사용되므로 성능저하 가능성 있음 - 조회 쿼리가 복잡함 - 데이터를 등록할 INSERT SQL을 두 번 실행함 단일 테이블 전략 테이블을 하나만 사용..

서버와 통신하기 - HTTP통신과 JSON HTTP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자료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약속된 규칙 웹에서는 HTTP를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https는 기존의 http 프로토콜보다 보안이 강화된 것. 요청방식 Get 서버에 자료를 요청할 때 사이트 주소의 뒤에 자료를 붙여서 보내는 방식. 주소창에 요청 메세지가 함께 표시되고, 요청본문은 따로 사용하지 않음. 요청자료가 무엇인지 공개되어도 문제가 없는 경우에 사용. 요청방식 Post 서버에 자료를 요청할 때 중요한 자료를 입력하고 서버로 보낼 때 사용. 요청 내용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요청본문(request body)에 따로 담겨서 전송됨. 응답 상태 서버로 요청한 자료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실패했는지 등의 응답 ..

2023.04.24 10. 효율적으로 문자열과 배열 활용하기 래퍼 객체(wrapper object) : 숫자, 문자열, 불리언 등 원시 타입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려고 할 때 생성되는 임시 객체 오토박싱(autoboxing) : 필요할 때만 임시로 객체로 바꿔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원시 유형으로 되돌아 오는 것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 특정 패턴(규칙)을 사용해 문자열을 표현하는 언어. 예) 전화번호가 숫자로만 이루어졌는지, xxx-xxxx-xxxx 형태로 이루어져있는지 체크 가능 JS뿐만 아니라 자바, 파이썬 등의 언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규칙임 RegExp 객체 사용 또는 ‘ / ’ 슬래시 사용 패턴[플래그] //플래그는 옵션임 let regexp = /\\d{3}/ /..

한달간 목표 : git 사용법 이해하기, 자바 언어 공부하기, 밀리지 않기 keep 최대한 제시간에 이해하고 넘어가기 JPA스터디 유지 problem 체력관리 - 학습이 끝난이후 운동이 필요하다 자세교정 - 의자, 마우스 새로살까... 허리도 아프고 집중이 안된다. 수면시간 조절 - 아침은 항상 힘들다 세션시간에 집중하기 - 뭐라도 적으면서 듣자 코플릿 문제풀이가 밀렸고, 추가 실습도 진행하지 못했다. try 학습에 완벽을 추구하지 말기 몸을 계속 바쁘게 만들기 - 알바, 스터디 모두 결국 강제로 하게 되있어야 한다. 힘들다고 시작도 안하면 그냥 안한게 된다. 늦어도 새벽 2~3시에는 자기 8시에 일어나서 식사는 꼭 챙기기 6시 이후 산책을하던가 헬스장가기 reminiscence JS 스터디 일정을 책 ..